본문 바로가기
인체공부

성염색체와 남성 생식기 구조

by 구메인 2024. 4. 1.

성염색체와 남성 생식기 구조

성은 인간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성욕은 식욕, 수면욕과 함께 인간의 3대 욕구이다. 성별 차이는 내분비기관과 생식기관에 의해 발현된다. 생식기관은 종족 보존과 삶의 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 우리 삶의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유전적인 성은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받은 성염색체에 의해 결정된다. 아버지로부터 X와  Y염색체를, 어머니로부터 X염색체를 받아서, XX가 되며 여성이 되고 XY가 되면 남성이 된다. 

특정한 성염책체를 가진다고 해서 성 분화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태아 시절에 결정된 성을 유지하고 발달시켜주는 호르몬이 정상적으로 활동하고, 고환과 난소 등의  여러 부속기관이 제대로 기능을 해야 남성이나 여성으로의 특징이 발현되는 것이다. 보통 성 분화는 임신 2개월경부터 시작하고 이차성징이 이뤄지는 청소년기에 완성된다.

여성은 태어날 때에 배란하는 모든 난자를 어머니에게서 받는다. 즉 여자아이는 외할머니가 어머니에게 준 난자와 아버지의 정자가 만나서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다. 아이가 성장해서 가임기에 이르면 이때부터 30~40년 동안 매달 1번씩 배란을 통하여 어머니에게서 받은 난자를 밖으로 배출한다. 반면 남성은 생식기가 성숙한 이후로 거의 평생에 걸쳐 정자를 만들어낸다.

여성은 가임기가 지나 폐경이 오면 안면홍조, 발한, 우울감 등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배란이 끝났다고 여성의 특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반면 남성은 성기능 쇠퇴를 제외하면 별다른 증상이 없다. 남성의 성적 퇴화는 여성에 비해서 점진적으로 이뤄진다.

 

남성의 경우 음낭 안에 위치한 고환이 정자를 생성하고 남성호르몬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환은 복강 속에 있다가 태어나기 전에 음낭으로 내려오는데, 가끔 계속 복강 속에 남는 경우를 잠복고환증이라 한다.

잠복고환증은 정자나 호르몬을 만드는 기능 문제가 발생하여 불임까지 초래한다. 고환은 체온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해야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병의 치료는 고환을 복강에서 꺼내어 음낭으로 내려보내는 수술을 해야 한다. 바깥에 노출된 음낭은 고환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고환 속에는 여러 조직세포가 있는데, 라이디히세포에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젠과 테스토스테론을 생산한다. 테스토스테론은 정자 생성과 남성의 이차성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남성호르몬은 인체의 대사 전반과 성장에 관여하기에, 남성이 여성보다 몸집이 크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이유이다. 남녀의 성욕 또한 남성호르몬에 의해 생기며, 여성한테도 소량의 남성호르몬이 나온다.

성호르몬은 뇌의 성장과 발육, 뇌 기능에도 영향을 준다. 이에 뇌의 성별 차이도 어느 정도의 성호르몬에 영향을 받아 생긴다.

이차성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립선은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커진다. 과하게 커진 전립선은 그 속을 지나는 요도를 압박해서 배뇨가 잘 되지 않는 현상을 유발하며, 이를 전립선비대증이라 부른다.

부고환에서는 정자를 만들고, 고환 밖의 정관과 복강, 요도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사정 할 경우, 부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가 정관을 통해 요도로 배출된다.

부속기관에서 분비된 여러 분비물과 부고환에서 나온 정자가 합쳐져서 정액이 만들어진다. 정자는 태어날 때부터 정자 원형세포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사춘기 전까지는 활동하지 않다가 이차성징이 시작될 때부터 정액의 형태로 나타난다

'인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임과 불임, 오르가즘  (0) 2024.04.03
여성 생식기와 출산  (0) 2024.04.02
신장에서 만든 소변의 구조  (0) 2024.03.29
신장의 기본 단위인 네프론  (0) 2024.03.28
신장의 기능과 중요성  (0)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