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공부

위험한 면역반응 사례

구메인 2024. 3. 1. 00:32

위험한 면역반응 사례

외부 침입에서 우리를 지켜주는 면역반응은 항상 이롭기만 하지 않고, 가끔 위험에 빠뜨리게 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장기이식의 경우이다. 면역계는 외부에서 들어온 모든 것들은 무조건 공격하기 때문에 타인의 장기와 같은 조직도 공격의 대상으로 인식한다. 이를 면역 거부반응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장기이식을 할 경우, 조직 항원성이라고 불리는 우리 몸이 남의 것으로 인식하지 않아 공격하려는 성향이 적은 조직을 찾으려고 애를 쓴다. 하지만 인체 면역반응을 완전히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이식을 하고 나서는 반드시 면역 거부반응을 줄여주기 위한 면역 억제제를 투여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이식된 새 장기가 면역계로부터 공격을 받아 죽을 수도 있다.

 

하지만 면역반응이 억제되었다는 말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항원에 대해 반응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장기 이식받은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감기와 같은 감염성질환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은 췌장에서 분비된 효소에 의해 소화되고, 위와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분은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하지만 드물게 소장도 실수를 하여 이상한 물질을 흡수할 때가 있다. 이 경우 바로 거부반응이 나타나며, 상하거나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면 몸에 두드러기가 나는 현상 등입니다.

 

정상인에게는 나타나지 않지만, 드물게 자신의 조직세포에 항원성을 나타내 면역반응이 생기는 자가면역질환이 있다. 자신의 것을 남의 것으로 인식하여 자기 조직을 파괴해버리는 현상으로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질병이다. 이 때는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방법 외에는 치료법이 없다. 류머티즘이나 전신 홍반성낭창 등이 해당된다. 아군과 적군을 잘 구별하지 못할 경우에 적군이 쉽게 침입할 수 있다. 면역결핍증이 발생한 경우이다. 면역력이 상당히 떨어진 상태로, 선천적으로 그럴 수도 있고,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후천적 면역결핍증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HIV 바이러스에 의한 에이즈이다. 다행히 최근 에이즈는 여러 치료법이 개발되어서, 현재 꽤 오랜 시간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상태이다.

 

​면역 기능이 떨어진 것만 문제가 아니라, 과민해도 문제가 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알레르기이다. 꽃가루, 먼지 알레르기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것들은 모두 면역반응이 정상인 것보다 더 예민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이런 알레르기 반응은 증상이 즉시 나타날 수도, 천천히 나타날 수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알레르기가 꽃가루가 날리는 봄에 흔하게 발생하는 화분증이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화분증 발생이 적은 편이다. 이유로는 우리나라 인구가 도시에 거주를 많이 하기에 꽃가루가 많지 않은 환경에 살기 때문이다. 또한 알레르기 유발 물질 중 많이 알려진 것이 진드기이다. 침대, 이불, 베개 등 많은 곳에 있으며, 세탁 및 청소를 자주 하여 깨끗한 환경을 유지해도 이 진드기는 피할 수가 없기에 같이 산다고 볼 수 있다.

 

요즘은 어떤 인자로 인해 알레르기를 발생하는지 원인을 찾는 검사도 많이 한다. 원인 물질을 찾고 알레르기를 완전히 치료할 수도 있다. 원인을 찾지 못하거나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는 불편하지만 알레르기와 더불어 사는 수 밖에 없다. 최근 어린이들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아토피가 있다. 요즘은 화학물질에 자주 노출되는 환경이 많으니 과민반응이 일어난다. 아토피는 피부나 호흡기 반응 등 여러 가지로 표출되고 있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이런 병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관지에 경련이 심하게 일어나 숨을 내쉬는 것이 힘든 병인 기관지 천식도 증가하고 있다. 아주 심할 경우에는 호흡이 되지 않아 죽을 수도 있는 무서운 병이다. 기관지 천식 또한 아토피와 마찬가지로 공해나 합성 화학물질로 인해 생긴다. 요즘은 오염 물질이 방에도 있기 때문에 새집 증후군 같은 병도 있다. 어디에도 안전한 곳이 없는 세상이 되어버렸다.